반응형


건강보험료, 국민연금 카드납부 하기



지역가입자분들이라면 매월 건강보험료, 국민연금을 납부하실텐데요

오늘은 신용카드로 납부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일반 직장인분들이 퇴사하고 자영업을 하게 되면 직장가입자에서 지역가입자로 넘어오면서 헉 소리나는 건강보험료에 충격이 있으실수 있겠는데요. 저 역시 지역가입자로 넘어오면서 재산, 자동차, 성/연령에 부과되는 말도 안되는 건강보험료 산정에 매우 불만이 큰 1인입니다.





자영업을 해서 소득이 괜찮은 분들도 있으시겠지만 아마 대부분이 영세하실텐데요. 적지않은 건강보험료! 저는 현금이 없을때는 신용카드로 납부를 하게 됩니다. 네이버 또는 다음에서 국민건강보험으로 검색해서 사이트 접속 후 메인 하단에 내려보면 아래와 같이 사회보험징수포털 아이콘이 보입니다. 클릭하면 위와 같은 페이지가 보여집니다. 


공인인증서 로그인후 납부할 보험료 조회 선택을 클릭합니다.





고지내역을 조회할 수가 있습니다. 보통 매월 20일 후면 고지가 되는데요. 미납내역과 함께 조회가 가능하고 일부납을 할 수도 있습니다. 납부방법은 다양한데요. 통장에 돈이 있으면 즉시이체, 인터넷지로 납부를 선택하면 되고 없으면 신용카드 납부를 선택하면 되겠습니다.




예전에는 카드 납부시 카드납부대행수수료가 없었는데 작년부터 생긴걸로 알고 있습니다. 일반카드사가맹점들이 신용카드 거부하면 법적으로 위반이고 국가가 운영하는 건강보험료는 신용카드 수수료 1% 받아 챙기고 뭐하자는건지... 정부여~ 건강보험료 수조원의 흑자가 발생하고 있는데 수수료1%는 그냥 버리십시오. 체크카드가 신용카드랑 동일한 수수료율이 적용되는건 진짜 문제네요. 





카드납부를 선택하면 위와 같은 화면이 보이게 됩니다. 여기서 각종 정보를 입력한 후에 납부 버튼을 클릭합니다.



매번 결제할때 마다 카드정보를 입력해야 되니 좀 불편하네요. 비번 입력후 카드 확인을 누르면 위와 같이 검증여부 정상완료 문구가 보이게 됩니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확인 메세지가 위와 같이 보이게 됩니다. 





주의할 점은 납부 취소가 불가하며, 수수료1%가 포함되어 있다는 점입니다. 국민연금 카드 납부도 위와 같이 진행하면 되겠습니다. 다행히 현재는 국민연금은 수수료가 없습니다. 그러나 곧 납부대행수수료 1%에 관한 법 개정 시행이 될꺼 같네요. 이제부터라도 현금으로 내도록 해야겠네요.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라이프코리아트위터 공유하기
  • shared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