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주식투자를 하고 있다면 급하게 오르거나 내리면서 호가창이 멈추는 경우를 볼 수 있을 텐데요. 바로 주식 vi발동이 들어가서 그렇습니다. 언제 발동이 되고 어떻게 해야 되는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주식 vi발동이란?

 

Volatility Interruption의 약자로 변동성 완화장치입니다. 개별종목에 대해 발동이 되며 급변하는 호가에 브레이크 건다고 보면 되겠습니다.

 

주식 vi는 2가지로 구분되는데요. 발동이 되면 2분 동안 단일가매매로 바뀌면서 주문이 이루어집니다. 

 

1. 동적 vi

 

바로 전 체결가보다 다음 체결가가 순간적으로 변화할 때 발동이 됩니다. 

코스피 200 종목 3% 이상 급변 시

그 외, 코스닥 종목 6% 이상 급변 시

 

 

2. 정적 vi

 

시초가에서 10% 이상 상승하거나 하락할 때 발동이 되며 주로 테마주나 급등주에서 자주 보입니다. 보통 2번 발동되면 상한가로 가는 경우가 있습니다. 참고로 금일에는 엔투텍(227950)에서 총 4번의 정적 VI가 발동되었습니다. 2번은 상승 2번은 하락.

 

특히 거래량 실으면서 강하게 오르면 크게 상승하는 케이스가 있어 이런 종목 위주로 짧게 들어가는 투자자도 제법 많습니다.

 

주식 VI발동이 되는 종목은 MTS에서 바로 확인이 가능합니다. 또한 동적, 정적 구분해서 볼 수 있으며 몇 시 몇 분 몇 초에 발동이 되었는지 쉽게 알 수 있습니다.

 

엔투텍은 1800원에 본 게 엊그제 같은데 현재는 7190원이네요. 가파르게 상승했다가 현재는 눌려지고 있는데요. 모더나 관련주로 앞으로 과연 얼마까지 올라갈지 궁금하네요.

 

주식 관련해서 같이 읽어보면 좋은 글

 

주식 장마감시간 시간외단일가 거래방법

배당금 높은 주식

 

그럼 오늘도 성공투자하시길 바라면서 글을 마무리하겠습니다.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라이프코리아트위터 공유하기
  • shared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